안녕하세요 페일오버 입니다. 오늘은 Cloud ALM 활성화 방법을 간단하게 보고자 합니다. SAP은 기존 Support 런치패드를 올해 2Q 까지 정리하여 SAP for ME라는 사이트로 이관하는 것을 계속 장려하고 있습니다.
4월 말 부터는 필수적으로 SAP for Me를 사용해야 하는 방식으로 전환이 될 것이라고 안내를 하고 있기도 합니다.
예전에 포스팅에서 Cloud ALM에 대해 활용가치를 확인 한 적이 있었는데, 해당 기능은 PCE를 사용하는 사이트에서 사용안하면 손해를 보는 기능이고 무료이기에 일단은 살려 놓고 구성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https://me.sap.com/home
me.sap.com
위의 사이트에서 Cloud ALM 활성화가 가능한 구조이며 활성화가 가능한 경우 Service & Support 메뉴의 Provisioning 텝을 확인하면 리스트 확인이 가능합니다.
Start Provisioning을 선택하면 어느 리전에 구성할 것인지 어떤 subdomain을 사용할 것인지 지정을 할 수 있습니다
요청이 완료되면 프로비저닝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REQUEST SUBMITTED 에서 PROVISIONING TRIGGERED로 상태가 바뀌고 프로비저닝 시간은 15분으로 안내가 되긴 하나 제가 활성화 했을 때 90분정도 시간이 걸렸습니다.
프로비저닝을 시작하게 되면 현재 Cloud ALM으로 연결 가능한 시스템들의 정보를 읽어 들인다고 이해를 하고 있고 향후 어떤 데이터를 보고 활용할 수 있을지는 공유 드리겠습니다.
Welcome 메일
아무튼 프로비저닝을 시작하면 프로비저닝과 동시에 메일을 받게 됩니다.
아마도 SAP BTP와의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지네요
SAP Cloud Identity Service 안내 메일
검은 부분이 액티베이션 링크인데 해당 링크를 들어가면 최초 사용자 ID (프로비저닝 수행한 ID)의 패스워드를 셋팅하는 링크가 있고,
해당 링크를 통해 패스워드를 변경한 정보로 2번의 콘솔로 접속이 가능하게 합니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보여집니다.
위의 환경에 따라 Role등을 구성하고 사용자를 생성하여 운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그 때 필요한 사이트가 SAP Cloud Identity Service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 부분은 향후 Setup을 진행하면서 사용자 만들고 Role 매핑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Cloud ALM 접속 정보
이 과정이 지나면 마지막 메일을 하나 더 받게 됩니다.
해당 User 정보로 System URL에 접근하면 된다라고 설명 하고 있습니다.
1번의 Setup 부분은 Required Setup for SAP Cloud ALM | SAP Help Portal
SAP Help Portal
help.sap.com
해당 Help포탈을 참고하여 진행할 것이고 이 부분은 별도의 포스팅으로 안내를 드릴 예정입니다. 해당 내용을 검토하다 보니 어느새 프로비저닝이 완료된 것이 확인 됩니다.
민감정보는 다 마스킹하다보니 보이는 것이 없어 보이는데
어떤 제품들이 언제부터 계약이 되었고 언제까지 쓸수 있으면 해당 프로비전된 시스템의 일련번호와 프로비저닝이 완료된 시점과 요청한 시간 등이 보입니다.
저는 해당 플랫폼을 간단하게 PCE 및 BTP 서비스 모니터링에 활용을 해 볼 것입니다.
셋팅 작업에 대해서도 계속 포스팅을 남길 예정이니 잘 봐주시기 바랍니다. (계속 공부해야한다는 뜻 입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SAP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Cloud ALM - Cloud ALM API 활성화 (1) | 2023.04.03 |
---|---|
[SAP] Cloud ALM - 활성화 이후 Setup 단계 (1) | 2023.03.27 |
[SAP] Cloud Connector - 간단한 개념 및 셋팅 (0) | 2023.03.20 |
[SAP] Fiori 기능 활성화 - STC01 (0) | 2023.03.09 |
[SAP] Abap Cloud 개발 - Private Cloud 및 On-premise 환경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