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패일오버 입니다. 오늘은 SAP의 EAI 도구인 Integration Suite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SAP는 최근들어 SAP on-premise 환경의 라이센스를 굉장히 공격적으로 판매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반대로 생각해보면 SAP Cloud의 생태계를 공격적으로 확장하기 위함 입니다.
SAP cloud 환경에서의 EAI 도구로 Integration Suite를 내세우고 있는데, 이는 SAP ERP 시스템과 별개로 SAP BTP (Business Technology Platform) 의 부분적인 요소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SAP에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는 EAI 툴이 Integration Suite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오늘은 Integration Suite이 수용가능한 인터페이스 환경중에 SAP Cloud 와의 연동은 좀 나중으로 제쳐두고 SAP Private Cloude Edition을 쓰는 사용자가 기존에 보유한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Integration Suite의 주요 도구
1. Cloud Integration - 연동 개발 지원
2. Open Connector - 160개 연동 지원
3. API Management - API 관리
4.Event Mesh - 이벤트 처리
5.Integration Advisor -Integration 관리
위의 주요 요소 중 오늘은 Cloud Integration에 대해 간략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Cloud Integration
Integration Suite 핵심 요소중에 Cloud Integration의 Integration Flow는 이 기종 시스템간 데이터 및 처리 단계가 시스템 간에 어떻게 흐를지를 정의하는 일련의 개발 코드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SAP Integration Flow는 SAP 시스템을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간단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 구축된 Integration Template 입니다. GUI를 제공하여 Integration 시나리오를 디자인, 구성 및 배포하는 데 사용됩니다. Integration Flow는 HTTP, HTTPS, FTP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자유도가 있는 편입니다.
Integration Flow의 구성요소
- Sender system: Integration Flow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SAP 시스템 또는 비 SAP 시스템일 수 있습니다.
- Receiver system: Integration Flow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SAP 시스템 또는 비 SAP 시스템일 수 있습니다.
- Integration Flow Template: 이는 특정 사용 사례에 필요한 구성 정보, 데이터 매핑, 변환 및 처리 논리가 포함 된 미리 구성된 Integration Flow입니다.
- Integration Flow Configuration: 이는 구체적인 세부 정보를 사용하여 Integration Flow을 구성하는 곳입니다.
- Data Mapping: 이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시스템 간에 전송하기 위해 한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 Transformation: 이는 수신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맞게 데이터를 수정하는 과정입니다.
- Processing Logic: 이는 Integration Flow 내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비즈니스 규칙 세트입니다.
- Connectivity: 이는 시스템이 Integration Flow에 연결되는 방법입니다. SAP 통합 스위트는 HTTP, SFTP 및 JDBC를 비롯한 다양한 연결성 옵션을 지원합니다.
SAP Integration Flow의 장점
- 시간 절약: SAP 통합 플로우는 사전 구축된 인티그레이션 템플릿을 제공하여 인티그레이션 시나리오를 디자인 및 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입니다.
- 사용하기 쉬움: SAP 통합 플로우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인티그레이션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코딩이 필요하지 않도록 합니다.
- 확장성: SAP 통합 플로우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높은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SAP Integration Flow의 단점
- 경험 부족: 최근에 아무리 많은 기업들이 SAP Cloud를 적용하지만 실제로 규모가 크지 않고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인터페이스 사례에 기반한 프로젝트는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 과금체계: BTP CPEA 의 라이센스 획득(구매한 총량 중 사용한 사용량 만큼 차감되는 형식) 또는 라이센스 획득 후 추가 사용분에 대한 추가 빌링의 형식 등 다양한 과금체계가 존재하는데 실제로 비용을 지불 하는 입장에서 영구 라이센스를 획득한 상태에서 마음껏 사용하고 싶다는게 효율적 비용사용으로 인식하는게 당연한 것 같습니다.
- Latency: 아직 이 Latency를 경험을 하지는 않았지만 어느정도 예상이 되는 부분으로 구축사례를 경험한 후 공유하도록 해보겠습니다.
현재까지 이론적으로는 SAP 시스템과 연동을 하기 위한 도구로 Integration Suite 만한 도구가 없는 것 처럼 보이는데 다른 사이트에서의 구축 사례를 보면 꼭 Integration Suite을 채택 하지는 않습니다.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TIBCO, Biztalk, IBM MQ 등 다양한 타사 솔루션도 SAP Cloud와 네트워크 이슈만 없다면 연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향후 경험을 통해 실제 장단점이 판단이 되면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SAP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Fiori Application 종류 (0) | 2023.03.01 |
---|---|
[SAP] Fiori 는 SAP GUI를 얼마나 수용할까? (0) | 2023.02.28 |
[SAP] Fiori 권한 부여 방법 (1) (0) | 2023.02.26 |
[SAP] Client Copy 의 새로운 버전 (SCCLN, SCC9N 등) (0) | 2023.02.25 |
[SAP] Cloud ALM 의 활용가치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