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패일오버 입니다.
오늘은 아주 많이 알려져 있고 SAP에서도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는 Rise with SAP Private Cloude Edition 인프라 운영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Rise with SAP PCE는 고객은 Application 운영에만 집중하고 기반이 되는 인프라 (H/W, N/W, O/S, 서버 등)에 대한 관리는 SAP에서 주도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R&R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SAP 인프라의 기존 설치 및 유지관리를 진행하던 Basis의 역할은 굉장히 축소되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습니다. Basis의 역할이 꼭 줄어드는 것 처럼 처음 얘기가 나와서 조금은 난처한 기분이었습니다.
Rise with SAP PCE를 사용하는 경우 SAP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와 고객이 수행해야하는 업무 범위에 대해 자세하게 구분 지어 놓았습니다.
SAP이 기본적으로 수행하여 주는 Standard Service, 고객이 직접 수행도 가능하나 SAP에 추가비용을 지불하고 수행할 수 있는 CAS Service (Cloud Application services), Optional Services, Additional services 등으로 구분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Key Point
굉장히 세부적으로 나누어져 있다 보니 해당 내용에 대한 숙지와 이해를 통해 기존에 운영하던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수행가능한 작업에 대해 섣불리 가능하다는 판단을 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 낭패를 보는 케이스도 발생 할 것 같습니다.
한국의 프로젝트 진행 성격상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요구사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고객이 요청하는 요구사항이 복잡한 경우가 많아 반드시 프로젝트 시작전에 숙지하여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SAP 측에서도 다양한 고객을 상대하다 보니 해당 서비스 항목과 R&R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하고 세분화 하고 있으며 아래 링크의 자료를 확인해 보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떠한 난관이 기다리고 있을지는 프로젝트 사이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해당 내용들을 잘 협의해 나가는 교통정리 능력이 SAP BC가 보유해야 할 덕목이 될 수도 있는 분위기 입니다.
SAP Basis가 할일이 없는 것 처럼 해놓고는 굉장히 많은 부분에 대해 검증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실제로 구성된 시스템에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SLA를 유지하기 위해서인지 굉장히 보수적으로 운영을 하는 모습니다.
현재 투입 중인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로 해당 이슈가 어떻게 발생하였고 어떻게 정리했는지에 대해서는 곧 공유를 드릴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 같습니다.
또한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basis 업무를 수행하는 것과 달리 SAP 런치패드를 통한 basis 업무 수행은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설명드리게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되세요~

'SAP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Fiori 권한 부여 방법 (1) (0) | 2023.02.26 |
---|---|
[SAP] Client Copy 의 새로운 버전 (SCCLN, SCC9N 등) (0) | 2023.02.25 |
[SAP] Cloud ALM 의 활용가치 (0) | 2023.02.20 |
SAP Abap Cloud 개발 - Key User Extensibility (2) | 2023.02.02 |
SAP Abap Cloud 개발 (2) | 2023.02.01 |